본문 바로가기

취업

카카오 인턴 합격 후기(상) - 2020 카카오 인턴십 for Tech developers

 

카카오 인턴 합격 후기 하편 - https://osb330.tistory.com/53

들어가기 앞서...

 

이 글을 쓰는 이유는 지금 정리를 하지 않으면 이때의 느낌이나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지 잊을 수 있으니 기록을 하기 위해 작성하는것이 크며 나중에 카카오에 지원하는 다른 분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수 있을까 해서 작성한다. 필자도 카카오 인턴십을 준비하면서 진짜 구글링을 하면서 각종 후기나 정보글을 읽어가면서 심신의 안정과 더불어 도움이 되었는데 미약하지만 도움이 되고 싶기에 남긴다.

 

그리고 이 글은 2020 상반기 기준이라 추후에 일정이나 모집요강이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숙지하길 바란다.

 

카카오에서 인턴십을 진행한다고...?

 

올해 상반기에 카카오에서 인턴십을 진행한다 공고가 올라왔다. 처음에는 카카오에서 인턴십이 나왔을 때 당연히 너무나 가고 싶은 기업이었기에 나오자마자 모집 분야 및 요강을 상세히 읽었다.

 

와 카카오 인턴 뽑는다고? 무조건 써야지!

 

전형 단계는 서류-코딩테스트-인터뷰(면접)으로 구성되었으며 인턴이라 그런지 면접을 한번 보고 최종합격자 발표 단계였다.

 

 

기술 분야에서 모집 분야는 크게 4개로 Server, Client, Infra, Data Science였다.

각 분야별 설명은 다음과 같다.

 

더보기

1. Server - 대한민국을 움직이는 대규모 트래픽을 다룰 수 있는 기회!

 

전 국민이 사용하는 카카오톡과 다음, 멜론을 비롯한 다양한 서비스, 이를 기반으로 하는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하는 광고 플랫폼, 카카오의 다양한 데이터 분석을 할 수 있는 분석 플랫폼 그리고 이를 지탱하는 다양한 전사 인프라 플랫폼까지 카카오의 서버 어플리케이션을 책임지고 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어느 회사보다 뛰어난 경험을 쌓고 높게 성장하는 개발자가 될 수 있습니다.

 

2. Client - 카카오에서 함께 클라이언트를 개발해 나가실 개발자분들을 모십니다.

 

카카오는 카카오톡, 다음앱, 카카오맵, 멜론, 카카오스토리, 카카오TV 등 다양한 서비스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한국의 IT 산업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이 많은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유려하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와 직접 연결되는 클라이언트가 매우 중요합니다. 카카오에서는 이러한 서비스 클라이언트들을 직접 만드는 과정을 통해 훌륭한 클라이언트 개발자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

 

3. Infra - 국내 최대/최고 IT인프라 전문가 집단

 

최고의 업무 환경을 경험할 수 있는 카카오의 인프라/데이터플랫폼 조직!
카카오 및 자회사의 IT 인프라/DB/협업 도구/Hadoop 설계 구축 및 운영을 담당하며 모든 서비스 개선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나아가 다양한 IT 솔루션을 배울 수 있고 개발 능력까지 키울 수 있는 조직입니다. 인프라/데이터플랫폼 조직은 유연하고 수평적인 문화 속에서 배움을 공유하고 서로의 성장을 격려하며, 다양한 학습 경험을 나누고 있습니다.

 

4. Data Science - 데이터 사이언스를 통해 카카오 서비스 전반의 가치 창출에 기여하는 업무

 

데이터 사이언스 분야는 카카오 전반에 걸쳐 주요 서비스 관련 데이터 분석,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 머신러닝 기반 예측 및 진단 시스템 개발 등 다양한 과정을 통해 가치 창출에 핵심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방대하면서도 잘 준비된 빅데이터 환경 그리고 이를 활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카카오에서 의미 있는 데이터를 탐색하고 이를 실제 서비스에 활용 가능한 형태로 만들어 가는 과정을 통해 데이터 사이언스를 경험할 수 있는 최고의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

 

사실 이전부터 보안쪽에 초점을 맞춰서 진로를 준비하여서 포트폴리오를 준비하였고 보안팀 인턴 경험도 있어서 인프라로 지원을 하게 되었다. 서버지식과 보안장비 운용을 하면서 인프라에 대해 자신있다고 생각했다.

 

여기까지만 해도 '인프라의 가장 중요 요소는 당연히 서버와 같은 IT인프라와 DB'라고 생각해서 여기에 초점을 맞춰 생각했었는데, 이는 예상치 못한 곳에서 나에게 당황하게 하였는데... 이는 후술하겠다.

 

서류 지원을 하자...

일단 서류를 작성하는데 경력사항은 보안팀 인턴 6개월 경험을, 프로젝트 수행이력은 SSAFY를 다니면서 한 가장 최근에 한 프로젝트를 적었다. 프로젝트는 AWS나 서버 관리에 초점을 맞췄다.

포트폴리오는 보안과 관련된 프로젝트를 정리한 PDF와 Github에서 Resume 페이지를 주소를 같이 첨부하였다. 

 

인프라쪽의 자기소개서는 4개문항으로 구성되어있고 1500자로 각 항목을 분배하여 작성하면 된다.

 

1. 졸업(예정) 시기를 기재해주세요.

2. 지원하는 분야와 관련하여 학습한 전공과목 혹은 외부강의를 3개 이내로 기재해주세요.

3. 자신의 열정과 기술적인 전문성을 나타낼 수 있는 경험/이력/생각을 자유롭게 기술해주세요.
(대회, 해커톤, 프로젝트, 오픈소스 코드 기여, 논문 등)

4. 인프라 내 6개의 세부분야 (System Engineer, Network Engineer, DBA, Data Architect, 
Hadoop Engineer, 협업도구/코드 관리) 중 관심 분야 2개 이상을 기술해주세요.

 

1번이야 이미 졸업을 하였기에 졸업을 하였다고 하였고 2,3번에 600자씩 4번에 300자를 분배하여 작성하였다. 

 

2번에는 네트워크와 통신, 신기술 정보보안, DB 과목을 작성했는데 인프라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한 것 중에서 학점이 가장 잘 나온것을 작성하였다. 각 과목별로 어떤걸 배웠고 왜 기억에 남았지 생각하면서 작성했다.

 

3번에는 보안팀 인턴경험을 정리하였는데 두가지를 얻을 수 있다고 작성했는데 하나가 전문성, 둘째가 협력과 커뮤니케이션이었다. 각각 실무적인 보안과 타부서간의 협력에 대해 강조하였다.

 

4번은 남은 글자수에 쓰기에 분량이 적어서 한줄 설명을 하면서 작성했다. System Engineer, Network Engineer, 협업 도구/코드 관리 3개를 작성했는데 OS와 네트워크는 보안을 준비하면서 자신있었으며 협업도구/코드관리는 Jira와 Git을 이용해서 코드관리를 하였다라고 간결하게 적었다.

 

이렇게 마치고 서류를 제출하였다. 서류를 제출하고 약 이틀뒤에 코딩테스트를 보라고 이메일이 날아왔다.

 

서류와 코딩테스트의 결과를 같이 평가를 하기에 서류를 제출한 사람에게 전부 보낸 것 같다. 이후 코딩테스트를 위해 알고리즘 문제를 준비하였는데..

 

다음편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