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머신 vmware에 우분투 리눅스 설치해보기.
일단 우분투 ISO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야 합니다.
https://www.ubuntu.com/download/desktop로 갑니다.
우분투 16.04 LTS와 우분투 17.04버전이 잇는데 16.04는 마지막 최종버전이고 17.04는 최근에도 업데이트가 되고 있는 버전입니다. 저는 17.04버전을 선택했습니다
그다음에는 기부관련 페이지가 나오는데 왼쪽 아래에 Not now, take me to the downlad버튼을 눌러줍니다.
이 페이지가 나오면 자동적으로 다운로드가 시작됩니다.
다음은 vmware에서 설치를 해봅시다. 저는 워크스테이션 라이센스가 있어서 사용하지만 vmware player로도 충분히 설치가 가능합니다.
typical과 custom이 있는데 vmware버전이나 하드웨어 타입등 자세한 설정을 할수 있는 custom으로 선택. 사실은 typical을해도 큰 문제는 없습니다.
이것은 vmware 버전을 설정하는 곳입니다. 현재 버전은 12로 되어있지만 낮은 버전에서도 사용을 하려면 11이나 그 밑으로도 설정이 가능합니다.
다음은 운영체제 설치방법. CD같은 디스크를 넣을지 iso 경로 지정을 할지 다음에 설정을 할지 3가지 선택지가 있는데 일단은 나중에 선택한다를 눌러줍시다.
그다음은 설치할 운영체제 종류. 리눅스를 클릭하고 우분투 64bit를 선택해줍시다.
다음은 가상머신 이름과 설치 경로를 지정하는 곳 입니다. 원하는 위치에 설치를 해줍시다.
그다음은 cpu프로세스와 코어수 설정. 넉넉하게 2개2개로 해줍시다.
메모리. 리눅스의 최소 메모리는 512MB 권장메모리는 1GB입니다. 저는 가상머신 우분투안에 가상머신을 돌릴 예정이라 넉넉하게 8GB를 해줬습니다. RAM 용량이 부족하면 크기를 줄이는 것이 좋은데 가상머신이 돌아갈때 할당한 램 부분을 가상머신이 사용하기 때문에 컴퓨터 자체가 느려질 수가 있습니다.
네트워크 환경 설정. 노트북같이 이동이 많을 때는 NAT를 권장합니다.
다음을 눌러줍시다.
디스크 설정 관련입니다. create a new virtual disk를 설정하면 가상으로 하드디스크를 만들어서 관리를 해주기 때문에 나중에 컴퓨터간 이동이나 복사를 할때 편리합니다.
다음은 용량 설정. 40GB정도로 잡고 다음 눌러줍니다.
디스크 이름 설정. 가상 디스크의 이름을 설정하는 부분입니다.
마지막으로 설정한 가상머신 환경을 볼수 있습니다 customize hardware를 눌러주면 설정을 바꿀수 있습니다. 바꿀것이 없다면 finish를 눌러줍시다.
다음과 같이 화면이 나오면 일단 가상머신 환경이 구축된 것입니다. 여기서 이제 iso를 설정하러 갑시다. edit virtual machine settings로 갑니다.
CD/DVD를 클릭하고 use ISO image file를 클릭하고 browse를 눌러서 우분투 iso파일을 장착해주고 OK를 누릅니다. 그리고 Power on this virtual machine을 클릭합니다.
기동을 시작하면 다음과 같이 창이 나오는데 install ubuntu를 눌러줍시다
이 설정은 서드파티 소프트웨어나 다른 부가적인 미디어를 설치하는 것인데 굳이 설치할 필요는 없습니다.
다음은 파티션 설정. 위에것은 디스크를 포멧하고 자동으로 파티션을 분할해주고 밑에것은 파티션을 직접 분할할 수 있습니다. 밑에거로 선택
다음을 누르면 이런 창이 나오는데 왼쪽에 있는 +창을 눌러줍니다
스왑 영역을 먼저 만들어야 합니다. 스왑이란 간단하게 하드디스크의 일부 공간을 메모리가 부족할때 사용하는것인데 4gb정도면 충분합니다. 4000으로 하고 밑에 use as를 swap area로 설정합니다.
저는 나머지 파티션은 /boot에 2GB. /에 15GB /home에 남은 용량을 다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install now를눌러주시면 만들어진 파티션 확인을 합니다. continue를 눌러줍니다.
지역 설정이 나오는데 서울 클릭.
키보드 레이아웃. 리눅스 명령어는 영어이니 영어 키보드 선택.
계정설정입니다. 계정은 관리자 계정을 만드는 것인데 이름과 비밀번호를 개인에 맞게 입렵합니다.
계정정보까지 입력을 다 하면 설치 창이 나오는데 차라도 한잔 마시고 오면서 기다립니다.
위의 설치창이 다 진해되면 다음가 같이 재부팅을 하라고 합니다. restart now를 눌러주면 알아서 재부팅이 됩니다.
그리고 이렇게 아까 만든 계정창과 패스워드를 입력하라고 나오면 우분투 설치 완료입니다.!
'가상머신 환경 세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sql group replication (1) | 2017.10.10 |
---|---|
openssl을 사용해서 https 페이지 만들기. (0) | 2017.10.07 |
워드프레스 가상호스트 설정하기 (0) | 2017.09.29 |
아파치 설치부터 워드프레스까지 (0) | 2017.09.27 |
가상머신 위에 가상머신 돌리기. (0) | 2017.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