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CentOS 7에 설치형 블로그인 워드프레스를 올리는 작업을 해보겠습니다.
일단은 웹서버를 다운받기 위해서 httpd 패키지를 다운받아줍니다.
yum -y install httpd
설치가 완료되면 httpd 방화벽을 열어줍니다.
firewall-cmd --permanent --add-service=http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80/tcp
입력한 뒤에 httpd서비스를 시작한다.
systemctl start httpd
그리고 시작하자마자 httpd를 시작하게 하기 위해서
systemctl enable httpd를 입력
제대로 웹이 설치되었는지 확인을 하기 위해서 자신의 ip주소를 웹에 입력해보자.
ifconfig로 ip주소 확인
웹창에 ip주소를 입력했을때 다음과 같이 나오면 아파치 웹서버가 정상적으로 설치 된 것이다.
그다음 mysql을 설치합니다. rpm -ivh https://dev.mysql,com/get/mysql57-community-release-el7011.noarch.rpm을 입력해서 패키지 파일을 구합니다.
다음 yum -y install mysql-community-server 입력합니다.
조금 기다리면 설치가 완료됩니다.
그다음 mysql을 실행하기 위해서 systemctl start mysql을 입력하고 상태를 확인해봅니다.
systemctl status mysql
mysql에 접속해서 유저와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합니다. 저는 db이름을 wordpress_db1 유저 이름은 oh로 했습니다. 그리고 oh에게 데이터베이스 권한을 줍니다.
다음은 워드프레스 설치입니다.
wordpress.org에 접속을 해서 워드프레스 패키지를 다운받습니다.
다운 받은 워드프레스 패키지를 var/www/html 하위로 압축을 풀어줍니다.
압축을 풀어주면 다음과 같은 목록들이 있습니다. 여기서 wp-config-sample.php를 cp를 사용해서 wp-config.php로 하나 만들어 줍니다.
cp ./wp-config-sample.php wp-config.php
그리고 vi를 사용해서 wp-config.php에 들어옵니다.
다음과 같이 설정파일이 나오면 아까 설정한 DB이름과 유저이름, 패스워드를 DB_NAME,DB_USER,DB_PASSWORD에 입력해줍니다.
그렇게 설정이 다 되면 이제 웹으로 localhost/wordpress를 입력해줍시다. 그러면 다음과 같이 워드프레스 제목과 사용자 명을 설정 할 수 있습닌다.
다 입력하면 이제 다음과 같은 창이 나옵니다. 여기서 로그인을 하고 들어가면
이렇게 워드프레스 설정 화면이 나옵니다.
'가상머신 환경 세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sql group replication (1) | 2017.10.10 |
---|---|
openssl을 사용해서 https 페이지 만들기. (0) | 2017.10.07 |
워드프레스 가상호스트 설정하기 (0) | 2017.09.29 |
가상머신 위에 가상머신 돌리기. (0) | 2017.09.18 |
우분투를 설치해보자. (0) | 2017.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