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에 vmware에 우분투를 설치했는데 이번에는 우분투 위에 virtualBox를 사용해서 centOS를 설채해보겠습니다.
시작하기 앞서서 CentOS7을 다운받아야 하는데
http://isoredirect.centos.org/centos/7/isos/x86_64/CentOS-7-x86_64-DVD-1708.iso
들아가셔서 받으시면 됩니다. 우분투 환경에서 다운받으세요
터미널을 열어줍니다.
sudo apt-get install virtualbox 라고 입력합니다. 그러면 자동적으로 버츄얼 박스가 설치가 됩니다.
여기서 virtual box에서 32비트운영체제만 인식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여기는 vmware에서 설정을 바꿔야 합니다.
virtual machine setting에 접속후 process를 클릭해보면 virtualize Inter VT-x/EPT or AMD-V/RVI 를 체크해줍니다.
그러면 다음과 같이 64bit운영체제도 생깁니다. 저희는 centos를 설치할 것이라서 RedHat 64비트 선택.
이름과 운영체제 종류 선택해줍니다.
메모리 사이즈는 권장이 1024여서 1GB로 선택.
하드웨어 설정입니다 virtual hard disk now를 선택합니다.
centOS 가상머신 틀이 일단은 완성이 되었습니다. 우분투설치할때 ISO이미지를 장착한 것 처럼 CentOS 이미지를 장착해줍니다. Settings에 들어갑니다.
Storage에 들어가서 오른쪽은 Optical Drive에서 시디 모양의 아이콘을 눌러줍니다. 그러면 choose Virtual Optical Disk File이 나오는데 클릭하셔서 CentOS이미지를 선택해줍시다.
세팅을 다하면 Start를 눌러줍니다.
CentOS 7 을 처음 기동했을 때 나오는 화면입니다. Install CentsOS Linux 7을 엔터로 눌러줍니다.
그러면 이렇게 터미널 창이 나오는데 조금 기다려줍니다.
언어 설정 화면이 나오면 English로 선택해줍니다.
다음을 누르면 이런 화면이 나오는데 일단은 SoftWare Selection을 눌러줍니다.
여기서 설치 환경을 선택할 수 있는데 저희는 그래픽환경을 사용하기 위해서 GNOME desktop을 선택해주고 오른쪽에서 GHOME Application을 선택해주고 왼족 위 Done을 눌러줍니다.
그리고 위의 메뉴에서 다시 Installation Destination을 선택해줍니다. 여기서는 위의 하드디스크를 한번 클릭해주고 done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그러면 알아서 파티션 분할까지 해줍니다.
다 설정하고 다음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설치 진행창이 나옵니다. 여기서 root password를 설정해주시고 좀 기다립니다.
설치가 완료 되면 reboot를 눌러줍시다. 그러면 알아서 재부팅 됩니다.
재부팅 되면 위와 같은 창이 나오는데 License Information 클릭.
라이센스 정보가 나오는데 왼쪽 아래의 I accept the license agreement를 눌러주면 설치 완료입니다.
그러면 위와 같은 로그인 창이 나오는데 저는 유저는 아직 안만들어서 아무것도 안나왔네요 일단 Not listed를 선택.,
root라고 user 이름을입력하고 password를 입력해주면 로그인이 됩니다.
짠. vmware 우분투 위에 virtualvox Centos 7이 돌아가는 모습니다.
'가상머신 환경 세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sql group replication (1) | 2017.10.10 |
---|---|
openssl을 사용해서 https 페이지 만들기. (0) | 2017.10.07 |
워드프레스 가상호스트 설정하기 (0) | 2017.09.29 |
아파치 설치부터 워드프레스까지 (0) | 2017.09.27 |
우분투를 설치해보자. (0) | 2017.09.16 |